News

0517 기준 주제: 드론

아인샴 2021. 5. 17. 22:16

미국 드론 업체, 무인 항공 시스템으로 췌장 이송 성공
https://www.etnews.com/20210516000005

-미션고 자회사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 위치 모니터링,비행 경로는 철저하게 기록
-19년도 메릴랜드대와 사람 신장 이송실험후 성공적으로 이식
-근거리 지역 내 이송을 넘어 국가간 이송 목표 

 

[IT핫테크]미국 드론 업체, 무인 항공 시스템으로 췌장 이송 성공

드론으로 사람의 췌장을 이송하는 실험에 성공한 사례가 나와 화제다. 위급한 수술을 해야 하는 환자에게 신속하게 장기를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드론 업체 미션고는 최근 무인

www.etnews.com



스누아이랩-서울대, 영상 de-bluring 알고리즘 상용화 성공
https://www.etnews.com/20210517000013

-스누아이랩, 디블러링 엔진 상용화를 계기로 원거리, 이동문제로 발생하는 저화질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

 

스누아이랩-서울대, 영상 디블러링 알고리즘 상용화에 성공

영상 인공지능(AI) 전문기업 스누아이랩 (대표 유명호)은 영상 디블러링 기술은 개발, AI 자동화 플렛폼(AutoCare Platform)에 탑재하는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영상 디블러링 기술은 영상 촬영과정

www.etnews.com


軍, 수소 파워연료전지 활용한 '국산 드론' 띄운다
-1년 안팎 주기의 시범 사업제도를 이용하여 구매계약 체결 : '신속시험획득' 제도
-전자광학·적외선 카메라 기능 기준으로 90분 이상 비행 가능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105179891i

 

軍, 수소 파워연료전지 활용한 '국산 드론' 띄운다

軍, 수소 파워연료전지 활용한 '국산 드론' 띄운다 , 문혜정 기자, 정치

www.hankyung.com

--------------

 

1. 로꼬(애인)가 말하길 드론은 특성상 평지에다가 도로가 잘 안깔린 곳이 효율이 좋다고 했는데 한국은 땅도 좁고 도로가 잘깔려서 고효율을 기대할 수 없다고 했다. 그 때는 오오 해서 고개를 끄덕거렸는데 생각해보니 한국은 꾸불텅하여 산길이 험준한 곳이면 드론의 효율을 기대할 수 도 있을 것 같다. 근데 그런곳이 과연 통신이 잘 터질런지 모르겠다. 

 

2. de-bluing이란 것은 아무래도 GAN을 이용하지 않았을까 생각을 한다. GAN과 edge detection 같은 것을 활용했겠지? 그러고보니 예전에 수석님께서 edge 검출 알고리즘을 보라고 하셔서 sobel 과 Cannied edge 를 공부해서 구현했는데 (라기보다 코드복붙을 했지) 둘 중 하나가 명확하게 잘해가지고 특징을 파악하라는 수석님 말씀을 잘 기억하지 못했다

 

ㅎㅎ 지금 다시 찾아보니 cannied는 광범위한 가장자리를 잘 찾고 sobel은 가장자리를 '강조' (뚜렷한 가장자리면 선이 확실하게 하얀색(255)임) 한 형태였다. 다시말해 cannied는 전체적인 윤곽을 선 하나로 그린다고 치면 sobel은 확실한 라인은 굵고 밝은 선으로 표현한다고 볼 수 있다. 

출처 : https://medium.com/srm-mic/finding-the-edge-canny-and-sobel-detectors-part-1-65a59b7ef62a

그러고 보니 나는 처음에 블러링이라고 읽어서 google-map 같은 곳의 비식별화를 이야기하는 줄 알았는데 이제는 옛날 드라마 처럼 FBI 같은게 가능해 질지도 모르겠다 (common한 상상임)

 

근데 어짜피 gan이라는게 모르는 부분은 인간의 상상력(경험)이나 다를 바 없으니까 지나가던 차의 볼트를 확대한다면 사람은 볼트 확대장면을 그릴 수 있는 것처럼 gan도 비슷하게 그릴 수 있지 않을까? 물론 당연히 ~~km밖의 숫자를 정확히 적는 것은 불가능하겠지만 대충 '사람이 그리듯이' 임의의 숫자를 그려 넣을 수 있다면 그것도 참 대단한 능력이 될 것이다. 

 

3. 수소연료전지 때문에 테슬라 주식이 올랐다고 하던데, 덕분에 테슬라 주식이 반짝떠서 내가 돈을 쏠쏠히 벌었었다.

(그때는 머스크 멜론이 비트코인 언급을 하기 전임) 근데 전세계적으로 수소 연료전지를 눈여겨 보는 느낌인데, 친환경적인거는 뭐 확실할테고 저게 정말 에너지를 기존 자원 대비 0.5~7 정도로 뽑을 수 있으면 좋겠다.  찾아보니 4~50% 라고 하는데 열까지 이용하면 80% 이랜다.(나무위키)

카르노 기관(인간?인가 생물의 에너지전환율)이 4할이라는데 80은 좀 무리한 수치 아닌가 싶네. 그래도 생각보다 훨씬 실용적인 수치라서 금방상용화 될 수 있을 거 같다. 아니 이미 상용화 되었지. 

언젠가 전기차를 몰겠다고 10대때 할아버지께 말씀을 드렸었는데, 할아버지께서 당장은 어렵겠다고 하셨던게 기억이 난다. ㅎㅎ 그래도 곧 전기 중고차를 살 수 있게 되었으면 좋겠네